방귀
방귀 : 항문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총칭
원인:
1. 음식물을 섭취할 때 공기를 섭취하며 그 공기가 장에 모임
2. 장 내의 세균에 의한 발효에 의해 가스가 발생
건강한 정상인의 하루 평균 방귀 횟수 : 10~20 / 양: 500ml~1000ml
방귀가 잦을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 :
공기연화증 (공기를 과도하게 삼키는 증상) 소장내세균과다증식,
과민성장증후군(가스 양 자체가 많다기보다 소량의 가스에도 불편감을 느낌)
방귀의 주요 구성 기체 : 99% ->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메탄 -> 무색 무취
: 1% -> 황을 포함한 황화수소 -> 방귀의 냄새
황은 우리의 몸에 꼭 필요하며 대부분의 음식에 함유되어 있기에 어쩔 수 없음
방귀를 참게되면 복부 팽만감이 생길 수는 있으나 장기능에 이상이 생긴다거나 암에 걸린다든가 하는 말은 틀린 말
오히려 방귀가 안 나온다 -> 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
복부 수술 후 방귀를 체크하는 이유 : 장이 제 역할을 다시 하고 있다
방귀를 증가시키는 음식:
장 내 가스 발생은 세균의 발효에 의해 일어남. 소화 흡수가 느린 음식들이 세균에 의해 발효됨.
우유, 유제품 (한국인의 대부분이 유당 흡수 장애를 갖고 있음)
사과, 배, 수박 (과당이 많이 함유된 음식. 과당은 소화 흡수가 느림)
통밀, 밀가루도 백미에 비하면 방귀를 증가시킴
양배추, 양파, 파, 마늘
무설탕 껌, 무설탕 캔디에 포함된 감미료 (자일리톨)
핵과일류 (복숭아 살구)
탄산음
가스 발생이 적은 음식:
포도, 오렌지, 감귤
청경채 ,상추
백미
방귀의 냄새를 악화시키는 음식:
황이 풍부하게 함류된 음식
콩류, 파, 마늘, 유제품, 갈조류
달걀 육류 생선 고단백 음식
또한 밥을 빨리 먹는 습관은 공기를 많이 섭취하게 되면서 방귀의 양을 늘릴 수 있음. 천천히 먹는 게 좋음.